건설정책연, 내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발표
내년 국내 건설경기는 부진한 선행지표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연간 건설투자는 2.4%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내년 주택시장은 ‘불황형 안정세’로 정의되며 가격, 거래, 공급이 동반 약보합세를 보여 수도권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은 L자형 횡보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지난 21일 열린 대한건설정책연구원 ‘2024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박선구 연구위원은 “올해 건설시장은 착공물량의 시차효과에 따라 건축 마감공사가 증가하며 당초 예상과 달리 건설투자의 증가세가 나타났다”고 밝히고 “내년 건설경기는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하며 금융시장 불안, 생산요소 수급 차질, 공사비 상승 등 부정적 요인이 부각될 경우 침체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건설물량의 시차효과로 인해 건설 선행 공종은 2024년 저점, 후행공종은 2025년이 저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전반적인 건설경기 회복은 고금리·고물가 등 거시경제 여건의 안정이 동반돼야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날 권주안 연구위원은 올해 주택시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등 경제 여건 악화로 수요와 공급이 동반 침체된 ‘복합 불황’ 상황으로 평가하고 “내년 주택시장은 수요 약세 지속, 공급 여건 악화, 시장 확장세 둔화 등이 지속되면서 ‘L자형 횡보세’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는 “주택가격은 시장여건상 가격, 거래, 공급이 동반 약보합 상황으로 수도권 아파트 기준 매매 1%, 전세 2% 내외의 제한적인 상승세를 예상된다”며 “따라서 주택시장 정상화를 위해 시장 동력인 수요 회복의 기반 구축과 함께 공급 규제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희수 원장은 “내년은 건설과 주택시장 모두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큰 시기이므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긴요하다”고 밝히고 “건설경기 침체가 길어지고 주택경기까지 얼어붙어 개별 기업은 리스크 관리를 경영 우선과제로 선정해야 하며, 정부는 투자 확대와 함께 자금시장 불안 해소를 위한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