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국내 첫 3D 프린팅 기술로 고속도로 구조물 시공

도공, 높이 3m, 연장 25m 옹벽 설치에 적용

천세윤 기자 | 기사입력 2023/11/16 [15:31]
천세윤 기자 이메일 아이콘 기사입력  2023/11/16 [15:31]
국내 첫 3D 프린팅 기술로 고속도로 구조물 시공
도공, 높이 3m, 연장 25m 옹벽 설치에 적용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공사기간 크게 단축, 투입 인력도 감소 확인

 


국내 최초로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 높이 3m, 연장 25m의 토목구조물이 시공돼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기술은 도로공사(사장 함진규)와 하이시스(대표 정구섭), 동아이엔지(대표 강덕만)에서 공동으로 개발했다.

 

3DCP 기술은 로봇을 활용해 모르타르 등의 콘크리트 소재를 층층이 쌓아 올려가며 3차원의 구조물을 축조하는 기술이다.  

 

도로공사는 이번 시험 시공에 앞서 국내외 3DCP 기술자료 및 업체 조사 등 철저한 검증을 거쳐 지난 6월 고속도로 시설물 3DCP 도입방안을 마련했으며 구조물의 역학적 특성과 경관 디자인 적용 필요성, 고속도로 확대 적용 가능성 검토 등을 통해 3DCP 방식의 무근 콘크리트 옹벽을 고속도로 시설물에 처음으로 설치했다.

 

3DCP 시공기술은 다양한 디자인을 경제적으로 구현하는 장점이 있어 향후 10년 내 건설사업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공 효과분석 결과 공사기간 단축(11일→3일), 투입인력 감소(33명→12명) 등의 경제적 효과 외에도 건설폐기물을 최소화해 친환경 고속도로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공사는 고속도로 3D 프린팅 건설 활성화를 위해 경관조성, 배수 등 대상시설물에 확대 적용하고 설계 및 시공기술과 절차 등을 표준화 할 계획이다.  

 

도로공사 조남민 설계처장은 “3DCP, BIM(건설정보모델링), AI(인공지능) 등의 첨단기술 융합을 통해 미래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이 진일보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건설기술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